아이패드 활용한 굿노트 가계부로 식비 절약
결혼한 지 1년이 아직 안 된 신혼부부로서 저는 제일 관심 있는 것이 식비 절약입니다. 다른 부분의 지출도 최대한 줄이려고 노력 중이지만, 둘이 같이 살면서 가장 많은 지출이 아무래도 변동지출인 '식비'였습니다. 그러던 중 인플루언서 어떤 분께서 먼 슬리 다이어리에 하루 식비 내역을 가계부로 작성하시면서, 5인 가족이 식비가 3~40만 원으로 줄이셨기에 저도 따라 해 보고자 가지고 있는 아이패드를 활용하여 굿노트로 써보기로 했습니다. 1월 1일부터 시작해서 작심삼일이 되지 않기 위해 식비만 작성하였습니다. 이렇게 쉬운 걸 왜 그동안 안 했을까?! 이런 생각이 들 정도로 쉬웠고, 적는다는 행동 하나로 의식적으로 줄이기 위해 노력하게 되는 저 자신을 발견했습니다.
굿노트 앱 깔고, 마음에 드는 속지 다운받기
사진에서 보시다시피 굿노트 앱을 아이패드에 깔고, 바로 이용하면 됩니다. 처음 굿노트를 다운로드하면 속지가 따로 없고, 무지 노트만 나옵니다. 속지는 유튜버들이나 블로그 인플루언서분들이 무료로 배포하는 것 중에 골라서 다운로드하시는 것이 효율적입니다. 돈을 아끼려고 하는 것이니 굳이 돈을 들여 구매하시지 않으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저는 이런 심플한 먼 슬리가 있는 속지를 다운로드하였습니다. 달별로 나누어져 있어서 작성하기 쉬웠고, 나름의 규칙을 만들어서 식비 외 지출도 적어보았습니다. 식비 외 지출은 점점 작성하기 어려워서 나중에는 식비만 적었네요. 적다 보니 무 지출인 날은 너무 뿌듯해져서 생각보다 더 적기를 잘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점점 식비 지출을 적게 작성하고 싶은 마음에 오늘 쓰려고 했던 소비를 내일로 미루게 되었어요.
사실 1월 첫째 주에는 의욕이 앞서서 이렇게 식단도 기록했었는데요. 딱, 일주일 갔습니다 :) 크크 식단까지 적기에는 시간이 너무 걸리더라고요. 아쉽지만 목적은 식비를 절약하기 위한 식비 가계부이기 때문에 원래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의미를 두기로 했습니다. 해보니 다이어리 꾸미기에 진심인 분들이 새삼 대단하네요.
결국, 다른 지출내역은 적지 않고, 식비만 적어 식비를 줄이다.
결론적으로 식비가 줄었습니다. 작년 12월, 11월에는 신혼부부 2인 가족 식비가 70~80 정도였습니다. 배달 음식도 자주 시켜 먹었고, 약속도 많았지만 그래도 식비에 너무 많은 돈을 쓰고 있었네요. 보시다시피 18일까지 식비를 40만 원을 사용하였습니다. 현재 냉장고에 장 봐둔 음식들도 있고, 설 명절도 있기 때문에 남은 예산은 최대 5만 원 정도로 생각하고 있기에 최종적으로는 45만 원 내외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지난 2달과 크게 다른 점은 배달음식비용을 많이 줄였던 것 같고, 식비 무 지출데이도 한 달 중 4~5일은 만든 것이 큰 변화가 된 것 같네요. 이것 역시 굿노트 식비 가계부를 작성하다 보니 자연스럽게 냉장고에 남은 음식들로 먹으려고 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작성하면서 느낀 점은 그전에는 귀찮기도 하고 식구가 2명인데, 배달이 더 저렴하지 않나?라고 생각했던 부분들이 틀렸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역시 집밥을 해 먹으니, 사 먹는 비용보다 크게 줄어드는 것이 눈에 보이더라고요. 저는 이번 연도 목표가 하나 더 생겼는데요. 음식을 좀 더 잘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식비를 줄이려면 해 먹어야 하고 해 먹으려면 아는 요리가 많을수록 음식재료를 보면서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더 잘 보이는 것 같아요.
식비 가계부를 작성하면서 한 달 식비를 30만 원 가까이 줄여보았는데요. 다음 달에는 더 줄일 수 있을 것 같아서 꾸준히 써봐야겠습니다. 아이패드 굿노트를 활용해서 느낀 장점은 저같이 글씨가 예쁜 편이 아닌 사람도 지우고 쓰기가 너무 편하고, 확대해서 큼직하게 작성한 후 화면을 줄이면 더 글씨가 예쁘게 쓴 것 같은 효과가 나와 만족스럽습니다. 아이패드가 있으시다면, 꼭 활용해서 가계부를 작성해 보시길 바랍니다. 저는 다음 달에도 식비 가계부를 공유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내 통장을 지키는 유용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 신용점수(KCB/NICE) 올리는 방법 알아보기! (0) | 2023.04.01 |
---|---|
[통신비절약] 알뜰폰 요금제 변경 후 통신비 월 500원 만든 후기! (0) | 2023.01.20 |
[성동구] 성동구립 무지개도서관 도서 열람&대출 후기 (0) | 2023.01.19 |
[통신비 절약] 고정비 줄이는 방법! 알뜰폰 요금제 알아보기 (0) | 2022.10.19 |
[작은 수입만들기] 안쓰는 기프티콘 현금화! 기프티스타 (0) | 2022.08.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