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오늘은 '반도체 제국' 꿈꾸는 코스피 시총 3위 기업
SK하이닉스를 알아봅시다!
1949년에 설립된 SK하이닉스는 메모리 반도체, 시스템 반도체를 주로 생산하는 세계 3위 종합 반도체 회사입니다.
시가총액 65조 8,114억 원으로 코스피 시가총액 3위입니다. 상장 주식 수 728,002,2365주로 외국인이 50.34% 보유하고 있습니다.
세계 반도체 시장 점유율은 D램 약 28%, 낸드플래시 14%이며, 주력제품은 DRAM, 낸드플래시, MCP와 같은 메모리 반도체입니다.
시장조사업체인 스트래티지 애널리틱스(SA)에 따르면 2021년 1분기 스마트폰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SK하이닉스가 점유율 20%를 기록하며 삼성전자(42%)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격변하는 스마트폰 시장 변화에 SK하이닉스가 적극적으로 성장 기회를 파고든 결과로 업계 관계자는 SK하이닉스가 과감한 마케팅과 공세적인 가격 협상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며 D램에 비해 상대적으로 점유율이 낮았던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존재감이 커지고 있다고 합니다.
SK하이닉스 기업실적
SK하이닉스는 2022년 2분기 매출액 10조 3,217억 원, 영업이익 2조 6,946억 원을 기록했고, 각각 전년 동기 대비 20%, 38% 증가한 실적으로 3년 만에 10조 원을 돌파한 매출액과 최고치의 영업이익을 기록했습니다. 경영실적 발표 후 진행된 콘퍼런스콜에서 노종원 SK하이닉스 경영지원 담당 부사장은 "PC와 그래픽, 컨슈머용 메모리 수요가 많이 늘어났고, 데이터센터 서버용 메모리 수요도 회복되면서 실적 개선을 이끌었다"며 "10 나노급 2세대(1y)와 3세대(1z) D램, 128단 낸드플래시 등 첨단 공정 제품의 판매 비중이 늘어나면서 원가 경쟁력도 향상됐다"라고 설명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시장 전망을 뛰어넘는 2분기 실적을 발표하면서 하반기 메모리 반도체 시장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습니다.
반도체 시장 규모
메모리 반도체 종류로는 D램, S램, 플래시 메모리(NOR 플래시, NAND 플래시)가 있으며, 비메모리 반도체에는 CPU, AP 등이 있습니다. 시장 전체에서 비메모리 반도체가 3400억 달러로 메모리 반도체 1246억 달러에 비해 3배 정도 큽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경우 비메모리 시장 점유율이 3%로 낮은 수준입니다. SK하이닉스도 올해부터 제품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위한 신호를 보내고 있어 메모리 반도체 제조기업이라는 틀을 깨기 위해 투자한다고 합니다.
반도체 한파
반도체 업황에 먹구름이 드리우며 코로나19 보복 소비 효과가 사라져 IT업계 특수 호황이 끝나가고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에 따른 세계 경제 침체 우려로 소비 심리를 위축시키며, 그에 따른 반도체 수요가 줄고 있습니다. D램 가격이 3분기에 최대 10% 하락할 것이라 예측했고, 당초 기존보다 3~8%, 낸드플래시는 8~13% 하락할 것으로 내릴 것으로 예상했는데 전망치를 더욱 낮춘 것입니다.
이러한 예측에도 불구하고 SK하이닉스는 지난해 인수한 솔리 다임(인텔 낸드플래시 사업부)은 서버용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eSSD) 시장에서 경쟁력이 있어 기존 모바일 제품에 강점이 있었던 낸드플래시 사업을 보완해주어 그리 걱정할 만한 수준은 아니라는 의견도 있지만, 2분기 이후 급격히 악화한 시황으로 NAND 부문의 실적이 급격히 악화하고 있어 목표가 전년 대비 100% 이상의 성장이었으나 성장률이 50%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SK하이닉스 배당금
SK하이닉스는 2022년 초 공시를 통해 "고정 배당금에 더해 연간 FCF 실적의 5%를 추가 배당금으로 지급하는 기존 방식을 유지하되, 고정 배당금을 기존 주당 1,000원에서 1,200원으로 20% 상향한다고" 밝혔습니다. 1주당 300원 분기 배당으로 배당수익률은 1.65%입니다.
1분기 - 배당기준일 (3/31), 배당 지급일 (5/17)
2분기 - 배당기준일 (6/30), 배당 지급일 (8/16)
3분기 - 배당기준일 (9/30), 배당 지급일 (11월)
4분기 - 배당기준일 (12/30), 배당 지급일 (23년 4월) 배당금 300원 + a
단기적으로 SK하이닉스 주가 전망은 현재 시점에서 하락세를 유지할 것으로 보이지만, 반도체 시장 전체의 하락장에 영향도 크기 때문에 기업 가치를 따져보고 앞으로의 가능성을 보고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한다면 반도체 시장의 상승한 시기에 함께 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럼 오늘도 성공적인 투자 하세요 :)
(투자상품 소개로 추천이 아닌 만큼 참고하시고, 투자의 책임은 개인에게 있으니 신중한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제2의 월급을 꿈꾸며,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주식] 현대차 주가, 달러 강세 수혜주 현대차 알아보기! (0) | 2022.09.15 |
---|---|
[국내주식] 국내 대표 빅테크 기업, 카카오 지금 사도 될까? (0) | 2022.09.12 |
[미국주식] 전기차 1위 테슬라 기업분석 및 미래 전망은? (0) | 2022.09.08 |
[국내주식] 코스피 시총2위 LG에너지솔루션 파해치기! (0) | 2022.09.06 |
[국내주식] 삼성전자우 삼성전자 우선주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9.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