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FOMC 공포에 52주 신저가 바닥을 뚫은 국내 점유율 1위 인터넷 대장주.
네이버 주가, 기업 전망을 알아봅시다!
코로나로 인해 혜택을 받아 코스피 시가총액 3위까지 올라갔었던 네이버 주가는 고점에서 40% 넘게 하락하여 2022년 9월 20일 기준 218,000원으로 장을 마감하였습니다. 현재 네이버의 시가총액은 35조 7,627억 원으로 코스피 9위에 위치해, 2021년 8월 한 때 약 75조 원이었던 것에 비해 거의 반토막 나 있는 상태입니다.
올해 들어서만 하락률 41.49%로 글로벌 금리 인상 여파에 성장주 투자심리가 위축되고, 광고·커머스 시장의 둔화로 쉽게 상승하기는 어려운 시점입니다. 지난 16일에는 네이버 주가가 장중 219,500원까지 밀리면서 52주 신저가로 추락하였습니다.
네이버 기업실적
네이버의 매출액은 2022년 1분기 제외 매 분기 매출액 실적 갱신을 하였습니다.
2분기 매출액은 2조 458억 원을 넘기면서, 커머스/핀테크/콘텐츠 부문의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해 23% 증가하였습니다.
커머스 사업 부문
2022년 2분기 커머스 부문은 10.3조 원이라는 역대 최고 매출을 보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20.8% 상승한 숫자입니다.
하지만, 전체 온라인 쇼핑 시장의 성장률 대비 네이버 커머스 스마트 스토어의 성장률이 비슷하여 성장 동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있습니다. CJ대한통운과 협업으로 새벽 배송 검토 등으로 물류 경쟁력을 키우고 또한, 네이버 쇼핑에서 네이버 페이로 네이버 의존율을 높이고 있어 커머스 부분의 성장이 기대되는 부분입니다.
특히, 네이버 페이 이용액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국내 간편 결제의 대부분이 카카오와 네이버이고, 네이버가 카카오에 비해 2배가 넘습니다. 하지만 애플 페이의 한국 진출 소식에 국내 핀테크 시장의 지각변동이 있을 수 있어 시장의 변화를 계속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콘텐츠 사업 부문
네이버의 콘텐츠 사업은 K-콘텐츠의 글로벌화로 전 세계 시장에서도 경쟁력을 높이고 있는 네이버 웹툰의 경우 글로벌 사용자 수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추세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많이 성장 가능성이 있습니다. 최근 네이버는 국내 최대 규모의 웹소설 전문 플랫폼인 '문 피아'를 인수하여 콘텐츠 사업을 강화하였고, 세계 최대 웹소설 플랫폼 '왓패드'를 인수하여 영상 등 2차 판권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있어 관련 수익의 성장성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네이버 주가, 앞으로 어떻게 될까?
증권가의 분석에 따르면 짧은 기간 내 쉽게 반등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하는데요. 금리 인상으로 이자가 높아져 외국인들의 매도세가
거세지고 있고, 이 외 다양한 부정적인 외부 변수인 정부의 플랫폼 규제, 성장률 둔화 등이 악재로 적용하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되고 있습니다. 네이버는 분명 매력적인 기업임이 틀림없습니다. 주력 사업인 광고와 커머스의 성장성이 여전히 높은 수준이며, 신사업 역시 가시적인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업의 미래가치를 보고 꾸준히 모아가시기엔 좋은 가격이라고 생각하지만, 금리로 인한 불안한 시장 전망에 상승의 시그널을 보일 때까지 기다리시는 것도 방법일 것 같습니다.
그럼 오늘도 성공적인 투자 하세요 :)
(투자상품 소개로 추천이 아닌 만큼 참고하시고, 투자의 책임은 개인에게 있으니 신중한 투자 하시기 바랍니다.)
'제2의 월급을 꿈꾸며, 경제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엔화 환율] 저렴해진 일본 엔화, 지금 투자해도 괜찮을까?! (0) | 2022.09.23 |
---|---|
[국내주식] 카카오 주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알아봅시다! (0) | 2022.09.22 |
[미국주식] 시총1위, 애플 주가 전망 및 기업분석하기! (0) | 2022.09.20 |
[미국금리] 미국 달러 환율 상승에 따른 투자 방법은?! (0) | 2022.09.17 |
[국내주식] 현대차 주가, 달러 강세 수혜주 현대차 알아보기! (0) | 2022.09.15 |